▢ 개요
❍ 명 칭 :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 Tool Box Meeting)
❍ 정 의 : 작업 직전, 작업 현장 근처에서 작업반장 등 관리감독자를 중심으로 작업자들이 모여 오늘의 작업 내용과 안전한 작업 방법에 대해 서로 확인하고 의논하는 활동
❍ 관련규정
- 「산업안전보건법」제5조(사업주 등의 의무) 및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 「안전보건교육규정」제2조(정의)제1항제3호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제13조(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제5조
❍ 목 적 :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 재확인, 작업자 간 안전 대화로 안전·보건에 관한 지식과 정보 최신화
❍ 필요성 : 매일 작업방식 또는 작업자가 바뀌는 현장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확보에 핵심적인 역할 수행
❍ 특 징
- 작업 직전 핵심 안전사항 공유를 위해 10분 내외로, 정확한 전달을 위해 4~10명 이 가장 효율적이며, 최대 20명 이내로 실시하는 것을 권장
- 오늘의 작업절차 변경이나 새로운 위험, 위험요인 통제방안·안전작업절차·최근 사고사례 등 전달사항을 간단명료하게 2~3가지 메시지로 정리하여 전달 권장
▢ TBM 단계별 활동
❍ 1단계 : 사전 준비
- 작업·공정별 위험성평가 실시
☞ 「산업안전보건법」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7조(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의 기록·보존),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 다양한 사고사례 확인
- 작업현황 파악
- 전달내용 준비 및 숙지
❍ 2단계 : 실행 과정
- 작업자 건강상태 확인
- 작업내용, 위험요인, 안전 작업절차 및 대책 공유
- 작업자 TBM 내용 숙지여부 확인
- 위험요인, 불안전 상태 발견 시 행동요령 전달
❍ 3단계 : 환류 조치
- 작업자의 불만, 질문, 제안사항 검토
- 위험요인에 대한 조치결과 작업자에게 재교육
- TBM 결과 기록 및 보관
▢ TBM 리더의 역할과 의무
❍ 전달사항을 모범적으로 실천
❍ 단계별 역할
- 시작 전 : 작업 관련 전달 사항 준비, 예상 작업 내용 및 범위 파악, 해당 작업 위험성 평가 자료 준비, 작업용 도구 및 보호구 준비 등
- 진행 시 : 작업자 건강 상태 확인, 위험요인 확인 및 대책 공유, 중점 위험요인과 대책 숙지 여부 확인, 불량 보호구 및 장치 파악, 건의사항 접수(불량 보호구 교체 등), 협력사 관리자 등과 협조 등
- 종료 후 : TBM 내용 이행상태 모니터링, 작업자의 불안행동 및 상태 관리, 시설·도구 관리 등 불안요소 파악·제거, 정리정돈 확인, 특이사항 보고 및 기록관리
▢ 작업자의 역할과 의무
❍ 본인의 건강과 안전 문제를 사업주와 상호협력
❍ 타 작업자의 안전에도 충분한 주의 필요
❍ 작업장에서 제공되는 모든 것들을 기능에 맞게 사용
❍ 각종 안전 활동은 사실대로 전달 및 기록

'지침 및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 (0) | 2023.02.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