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추진사항 및 반성

추진사항 : 정규강의(개념) 1회 수강

반 성 : 답안작성 및 기출문제 분석 무경험

개념 및 강의가 어떤 형태로 출제되는지 파악하지 못함.

132회 시험후기

시험시간

  - 매 교시 100(60분 이후부터 퇴실 가능), 쉬는시간 20, 점심시간 60

낮은 실 경쟁률

  - 실제 경쟁률은 낮은 것으로 분석 like 공무원 시험 : 경쟁률은 높음

    ☞ 매 교시마다 귀가인원 발생, 필자처럼 경험삼아 응시한 인원 다수 확인 등

답안작성

  - 답안지

   · 7(14) 제공, 1장 당 28, 문제마다 답안 작성 완료 시 기입

   · 매 교시 최종 답안 작성 후 다음 줄에 이하여백기입하여 마무리

   · 1교시(초록), 2교시(파랑), 3교시(노랑), 4교시(분홍) 답안지 색 구분

  - 1교시

   ·  13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답안 작성

   ·  1문제 당 10

   ·  고득점을 위해 문제당 1.4쪽(39줄)씩 답안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

  - 2~4교시

   ·  6문제 중에서 4문제를 선택하여 답안 작성

   ·  1문제 당 25

   ·  고득점을 위해 문제당 3.5쪽(98줄)씩 답안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

  - 대제목 구성에 오랜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시간낭비

  - 직접 손으로 작성하다보니 답안 단순 작성만 해도 많은 시간 소요

  - 많은 문제풀이으로 답안 대제목 구성시간 최소화, 몸이 반응하도록 노력

기타사항

- 개인차에 따라 방석, 손목보호대 필요

- 필자는 인근 이삭토스트로 점심 해결했으나, 대부분 도시락 지참

- 개념 복습 시 알고 있다고 넘어갔던 내용들이 답안 작성에 어려움 발생

- 평소 알고 있다고 생각하던 내용들도 답안 작성에 어려움 발생

알고 있는 것과 답안 작성(설명)은 다르다. 많은 반복과 연습이 해답

공부방법 2차 변경()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개념의 출제 유형 분석

일반적인 복습보다 문제풀이를 통한 복습이 더 효율적

 

향후계획

인강 수강 완료                                 : ’24. 2. 29.

기출문제 풀이                                  : ’24. 3. ~ 5.

133회 토목시공기술사 접수     : ’24. 4. 16.

133회 토목시공기술사 응시     : ’24. 5. 18.

필요성

  ❍ 정규반 강의 1주차 수강 및 복습 이후 기존 공부방법이 토목시공기술사 수험공부에 최적의 방법은 아님을 인지

    - 기존의 공부방법 : 첫 회독 시 꼼꼼히 공부하여 다음 회독시 복습하는 방법

  ❍ 강의 수강 결과 생각보다 공부량이 많고, 교수님의 수업방식이 생각하는 공부 및 답안 작성을 염두해둔 공부라는 것을 깨달음

    - 수업방식 : 답안 작성 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서술해야하므로 수업도 답안 작성 기준에 맞춰 진행

  ❍ 여러 Chapter를 아울러서 답안 작성이 필요하고, 토목 경력 및 배경지식 부족으로 수업 이해도 저하

 

공부방법 변경()

  ❍ 강의 이해도와는 별개로 우선 수업을 들어 1회 수강 완료

  ❍ 문제풀이 강의까지 수강하여 수업이 어떻게 적용되고 답안작성까지 연계되는지 파악

  ❍ 강의를 자주 들어 토목시공기술사에 대한 노출도를 높여 일상 및 업무 추진 시 지속적으로 회상할 수 있도록 노력

  ❍ 처음에 대충 훑고 점점 채워나가는 형태의 공부방법으로 변경

  꼼꼼한 복습보다는 기억 회상 또는 목차 파악 수준으로 복습

 

향후계획

  ❍ 정규반 강의 수강 완료            : ~’23. 1. 31.

  ❍ 실전반 강의 수강 완료            : ~’23. 2. 4.

  ❍ 문제풀이반 강의 수강 완료    : ~’23. 2. 12.

 

강의교재 구매

 

  ❍ 강의교재 현황

교재명 금액 교재명 금액
본서 55,000 강의노트 21,000
key point 114 18,000 용어정의 51,000
2차면접 22,000 핵심문제 & 답안클리닉 28,000
고득점 기출문제 51,000 시공사례모음집 18,000
기술사 답안지 5 15,000 총 계 279,000

 

  ❍ 강의교재 구매 : 9권 중 5권 구매

    - 강의에 필요한 3(본서, 강의노트, 용어정의)

    - 공부 시 도움될 것으로 판단된 2권 추가구매(2차면접, 시공사례 모음집)

 

강의교재별 첫인상

 

  ❍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 본서(·)

    - 책 제목은 21세기인데 디자인은 20세기여서 당황

    - 필기시험 관련 Q&A, 세부목차 및 내용, 기출문제 등으로 구성

    - 특히, 세부내용에서는 소주제별 분석, 차별화 ITEM, 솔루션 형태로 구성되어 필기시험 답안작성에 유리하게 책을 구성

 

  ❍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 용어정의(·)

    - 필기시험 답안작성에 유리하게 책 구성

 

  ❍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 강의노트

    - 강의 수강하면서 필요한 교재로 보임.

 

  ❍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 시공사례모음집

    - 타 수험생들의 답안지를 스캔하여 책으로 구성

    - 수험생의 현장을 필기시험 답안에 어떤 식으로 적용하는지 알 수 있음

    - 다만, 현장별 사진사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 바와는 달랐음.

 

  ❍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 2차면접

    - 면접 기본사항, 준비, 질문분석, 공종별 주요 질문, 실전 사례 등으로 구성되어 면접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수험생에게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미구매 강의교재 구매계획

  ❍ 기 구매한 강의교재 공부 후 판단 예정

 

인터넷강의 구매 사유

  ❍ 당초 독학으로 공부할 계획이었으나 일일 공부량 산정 어려움

  ❍ 시험 출제 빈도 및 경향 등을 스스로 파악하기 어려움

  ❍ 1회 공부하는데 독학보다 시간적으로 유리

  ❍ 강의말고도 제공받는 정보을이 수험생활에 도움이 됨.

  ❍ 수년간의 데이터 기반으로 교재 및 수업 구성

 

인터넷강의 선정기준

  ❍ 강좌수가 많아 완강하는데 오래걸리지는 않는지

  ❍ 수강기간이 너무 짧지는 않는지

  ❍ 금액이 너무 비싸지는 않는지

 

인터넷강의 비교

구 분 한솔아카데미 성안당 서울기술사학원 강남토목건축학원
수강비 450,000 880,000 1,320,000원 800,000
교재 45,000 188,100 127,000원 학습자료실 안내
강좌수 100 100 45강 296
수강일수 180 180 365일 365
특징 가장 저렴, 단권화 교수가 젊음 강좌수 가장 적음 기간별 강의 가격 상이
(6개월, 1, 3)

 

검토결과 : 서울기술사학원

  ❍ 강좌수가 적어 공부추진에 유리

    - 설명부족 등의 우려가 있으나, 결국 공부는 스스로 해야함.

  ❍ 네이버 카페 별도 운영

    - 수험자료, 합격수기 및 노하우, 답안작성법 공유 등

  ❍ 매회차 시험 대비 새로운 현장강의 업로드

  ❍ 면접 강의도 있어 필기 합격 후까지 고려한 선택(별도결제 필요)

  ❍ 금액은 가장 높으나, 합격 후에 얻게되는 장점을 생각하며 투자

 

도서개요

 ❍ 도서명 : 핵심 토목시공기술사

 ❍ 출판사 : 도서출판 성안당

 ❍ 저   자 : 장준득

 ❍ 판매가 : 70,000

 ❍ 목 차

chapter 01 : 일반콘크리트 chapter 11 : 교량
chapter 02 : 특수콘크리트 chapter 12 : 암반
chapter 03 : 강재 chapter 13 : 터널
chapter 04 : 토공(기본, 전문) chapter 14 :
chapter 05 : 건설기계 chapter 15 : 하천
chapter 06 : 연약지반 chapter 16 : 항만
chapter 07 : 흙막이, 물막이 chapter 17 : 상하수도
chapter 08 : 기초 chapter 18 : 환경토목
chapter 09 : 옹벽 chapter 19 : 공사관리, 시사
chapter 10 : 포장

공부계획()

 ❍ 일주일에 1chapter 공부해서 19주 완성

 ❍ 평일에 못한 만큼 주말에 많은 시간 투자하기

 ❍ 현장에서 적용 및 사례 발굴 가능한 chapter부터 공부

 ❍ 1chapter 공부 전·후 기출문제 풀어보기

    - 어떤 개념을 물어보는지, 어떤 문제형태로 출제되는지

 

공부계획 작성하며 느낀 점

 ❍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면 막연히 공부하다 수험기간이 길어졌을지도 모르겠다.

    - 1개 chapter 안에도 세부 목록들이 있어서 조금씩 하다가는 길어졌을 것 같다.

 ❍ 다른 출판사의 수험도서도 공부해야하므로 계획이 미뤄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1. 합격자들의 수기 읽기

 

수험도서 및 교재

 ❍ 대부분 인터넷강의 또는 현장 강의를 듣기 때문에 강의교재 사용

 ❍ 한솔, 성안당 등 수험도서가 몇 개 없음.

 

공부방법

 ❍ 오프라인 학원 수강(주말반)

 ❍ 학원에서 운영하는 네이버 밴드 활용

 ❍ 많이 쓰고, 많이 보고, 외우는 방법 밖에 없다.

 ❍ 유튜브 잉어TV 등 다양한 영상 등을 보면서 이해도 향상

 ❍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시 틈틈이 공부

 

필기시험

 ❍ 디테일한 답안 작성방법 필요

 ❍ 시험자 수준이 상향 평준화됨에 따라 FM으로 서술 답안 작성

 ❍ 400분 필기시험은 생각보다 힘들다, 연습도 실전처럼!!

 ❍ 도식화, 최대한 꽉꽉 채우기

   ☞ 어차피 채점할 때 다 안 읽는다!

 ❍ 문제유형준수, 논리적인 개연성, 현장사례

   ☞ 매 교시마다 현장명 기입하여 현장냄새 풍기기

 ❍ 문제존중+유형준수 : 채점자가 원하는 답, 유형준수

 ❍ 지나친 차별화 배제 : 안물안궁 되지 않도록 노력하며 내용에 있는 것을 끌어쓰면서 강조

 ❍ 결론 내는 습관 : 출제자의 의도 파악 노력, 결론 먼저 파악 후 답안 작성

 

면접

 ❍ 정의, 개요 대답만 잘해도 자신감이 생겨 답변이 잘된다.

 ❍ 현장 경험을 함께 말해라

 ❍ 거울을 보며 말하기 연습을 한다

 

 멘탈관리

 ❍ 가족들의 도움을 생각하기

 ❍ 자기 최면 및 스스로를 응원한다

   - 자신과 지킨 약속도 못지키면 아무것도 지킬 수 없다

   - 조금 어려운 것 뿐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 회사 다니면서 공부한다는게 쉬울거라고 생각했다면 착각이다

   - 쉬운거였으면 시작하지도 않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한다

 

장수생이 된 이유

 ❍ 전문공종 현장경험 부족 및 전문공종 문제풀이 창의성 부족

 ❍ 잦은 야근 등으로 공부시간 부족

 

노하우(Know How)

 ❍ 다른 수험생 문제풀이 답안을 보며 다양한 각도 생각

 ❍ 자를 사용하지 않고 선이나 도형을 그리는 연습을 통해 시간 관리

 ❍ 어떻게든 꾸준히 하려고 노력

 ❍ 서브노트는 개인차가 있고, 서브노트 만들 시간에 문제 하나 더 풀었다

 

합격수기를 읽고 느낀점

 ❍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처음에는 호기로운 패기로 수험공부에 도전

 ❍ 잦은 회식, 집안일, 건강 등의 사유로 꾸준하게 공부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

 ❍ 조금 공부하다보면 이 정도면 합격하겠는걸?’ 이라는 착각이 생긴다

 ❍ 합격 후에 결국 수업에서 알려주신 교수님의 말씀이 맞다는 것을 깨닫는다.

 ❍ 필기가 면접보다 더 어려운 것 같다

 ❍ 최소 2~3번은 보고 합격하는 것 같다

 


2. 마옹이의 토목시공기술사 공부방향

 

공부목적

 ❍ 자격수당, 각종 심의위원 대상 자격 소지

 ❍ 업무 전문성 향상 및 노후준비 등

 ❍ 자격증은 나를 증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

 

공부방법()

 ❍ 매일 조금씩이라도 공부하고 현장에서 사례를 찾는다

 ❍ 공부한 것을 블로그에 기록한다

 ❍ 저녁에는 공부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아침에 한다

 ❍ 공부한 것을 유튜브로 찾아보고 복습한다

 

멘탈관리 노력

 ❍ 내가 왜 공부하기로 결정했는지 매일 되새긴다

 ❍ 바디프로필 찍을 때 음식의 유혹을 못견뎠던 순간들을 기억하며, 또 다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 야근이 많아서, 회식 때문에 라는 핑계대지 않는다

 ❍ 어려운거지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자격명 : 토목시공기술사

영문명 : Professional Engineer Civil Engineering Execu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 종합적인 국토개발과 국토건설산업의 조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실무기술을 겸비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자격제도

 

변천과정

‘74. 10. 16. 제정
국가기술자격법시행령
‘91. 10. 31. 일부개정
국가기술자격법시행령
현재
국가기술자격법시행규칙 별표 2
토목기술사(시공) 토목시공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수행직무 : 토목시공분야의 토목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종합건설업체나 전문건설업체로 취업하며 이 밖에 토목관련 연구소, 유관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  토목시공기술사의 인력수요는 증가 예상

 -  건설경기 활성화 대책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국내 대형 건설사들의 경영상태가 건전해지고 부동산 경기 회복 등

    증가요인이 작용하여 토목시공기술사의 인력수요는 증가 예상

 

시험 수수료

 - 필기 : 67,800/ 실기 : 87,100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2023년도 토목시공기술사 검정 시행계획

회차 필기시험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합격자결정)
면접시험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예정)
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129 1. 3.
~1. 6.
2. 4. 3. 15. 2. 6.
~3. 24.
2.20.~2.23. 4. 15.
~4. 25.
5. 19.
3.21.~3.24.
130 4. 10.
~4. 13.
5. 20. 6. 28. 5. 22.
~7. 7.
7.3.~7.7. 8. 5.
~8. 15.
9. 8.
131 7. 24.
~7. 27.
8. 26. 10. 11. 8. 28.
~10. 20.
9.5.~9.8. 11. 11.
~11. 21.
12. 15.
10.17.~10.20.

원서접수시간은 첫날 10시부터 마지막날 18시까지

2021년 제123, 125회 필기시험 합격자는 각각 2.20.~2.23., 9.5.~9.8.에만 원서접수 가능

 

연도별 합격률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소 계 120,266 9,990 8.3% 14,931 9,919 66.4%
토목
시공
기술사
2021 2,572 262 10.2% 384 245 63.8%
2020 2,436 243 10% 385 260 67.5%
2019 2,634 394 15% 560 389 69.5%
2018 2,496 310 12.4% 433 307 70.9%
2017 2,668 306 11.5% 418 287 68.7%
2016 2,766 214 7.7% 313 221 70.6%
2015 2,577 196 7.6% 274 178 65%
2014 3,367 147 4.4% 285 172 60.4%
2013 4,141 294 7.1% 510 306 60%
2012 5,207 301 5.8% 623 365 58.6%
2011 5,995 461 7.7% 735 415 56.5%
2010 6,606 341 5.2% 672 386 57.4%
2009 5,896 480 8.1% 808 446 55.2%
2008 5,440 386 7.1% 732 392 53.6%
2007 4,809 268 5.6% 538 313 58.2%
2006 3,800 339 8.9% 598 297 49.7%
2005 2,720 229 8.4% 390 181 46.4%
2004 2,266 126 5.6% 209 114 54.5%
2003 2,576 142 5.5% 254 162 63.8%
2002 2,995 264 8.8% 389 264 67.9%
2001 3,292 307 9.3% 464 312 67.2%
1977
~2000
43,007 3,980 9.3% 4,957 3,907 78.8%

 

토목시공기술사 우대현황

법규 조문내역 활용내용
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101조의2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확인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확인관계 전문가기준
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제4 건설기술인의 범위(별표1) 건설기술인의 범위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34 하도급계약의 적정성 심사 등 하도급계약 심사위원 구성요건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35 건설기술인의 현장배치기준 등(별표5) 공사 예정금액의 규모별 건설기술인 배치기준
건축물관리법시행령 제21 건축물해체의신고대상건축물 등(별표22) 등록하여야하는 기술사의 직무의 종류 및 범위
건축법시행령 제91조의3 관계 전문기술자와의협력 건축물에 건축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협력 해야하는 관계 전문기술자의 자격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령 제23조의2 가스기술 기준위원회 위원의 선임 등 가스기술 기준위원회 위원의 선임 자격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4 특수업무수당(별표11) 특수업무수당 지급
공무원 임용 시험령 제27 경력경쟁채용시험등의응시자격등(별표7, 별표8) 경력경쟁채용시험 등의 응시
공무원 임용 시험령 제31 자격증 소지자 등에 대한 우대(별표12) 6급 이하 공무원 채용시험 가산 대상 자격증
공연법시행령 제10조의4 무대예술 전문인 자격검정의 응시기준(별표2) 무대예술 전문인 자격검정의 등급별 응시기준
공직자윤리법시행령 제34 취업승인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취업승인을 하는 경우
공직자윤리법의 시행에 관한 대법원 규칙 제37 취업 승인신청 퇴직공직자의 취업 승인요건
공직자윤리법의 시행에 관한 헌법재판소 규칙 제20 취업 승인 퇴직공직자의 취업 승인요건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7 전문 광해방지 사업자의 등록기준(별표1) 전문 광해방지 사업자의 등록기준
광업법시행령 제11 현장조사를 하지아니할 수 있는 사유 현장조사를 안할 수 있는 사유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제9 무시험검정의 신청 무시험검정 관련 실기교사 무시험검정일 경우 해당 과목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사본 첨부
교육감소속 지방공무원 평정규칙 제23 자격증 등의 가산점 5급 이하 공무원, 연구사 및 지도사 관련 가점 사항
국가공무원법36조의2 채용시험의 가점 공무원 채용시험 응시 가점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16 기업 등의 이공계 인력의 활용 지원 기술사 자격취득자에 대해 재정지원 또는 세금감면 등 지원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시행령 제20 연구기획평가사의 자격시험 연구기획평가사 자격시험 일부 면제 자격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시행령 제2 이공계 인력의 범위 등 이공계 지원특별법해당자격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시행령 제6 실태조사의 시기 및 방법 등 이공계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및 주요 이공계 인력자격
군무원 인사법시행령 제10 경력경쟁채용 요건 경력경쟁채용시험으로 신규채용 할 수 있는 경우
군 인사법시행규칙 제14 부사관의 임용 부사관 임용자격
군 인사법시행령 제44 전역보류(별표2,별표5) 전역보류 자격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27 직업능력 개발훈련을 위하여 근로자를 가르칠 수 있는 사람 직업능력 개발훈련 교사의 정의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28 직업능력 개발훈련 교사의 자격취득(별표2) 직업능력 개발훈련 교사의 자격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38 다기능 기술자과정의 학생 선발 방법 다기능 기술자과정 학생 선발방법 중 정원 내 특별전형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42 교원등의 자격(별표4) 기능대학교원 자격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44 교원등의 임용 교원임용 시 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우대
기술사법6 기술사사무소의 개설등록 등 합동사무소 개설 시 요건
기술사법시행령 제19 합동기술사사무소의 등록 기준 등(별표1) 합동사무소 구성원 요건
기술심리관 규칙 제2 기술심리관의 자격 기술심리관의 자격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6 기술거래기관의 지정기준 등 기술거래기관에 필요한 인력기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9조의2 사업화 전문회사의 지정기준 등 전담인력 및 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1 기술거래사의 자격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술거래의 경력 및 자격 등의 기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32 기술평가기관의 지정기준 등 기술평가를 위한 전담인력 및 관리 조직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춘 기관의 인력기준
기초연구 진흥 및 기술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2 기업 부설연구소 등의 연구시설 및 연구전담요원에 대한 기준 연구전담 요원의 자격기준
농어촌마을 주거환경 개선 및 리모델링 촉진을 위한 특별법시행규칙 제3 총괄계획가가 될 수 있는 기술사의 종류 총괄계획가가 될 수 있는 기술사 기준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4 국가기술자격취득자에 대한 시험면제 범위 등 같은분야 응시자에 대해 교양과정 인정시험, 전공 기초과정 인정시험 및 전공심화 과정 인정시험 면제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31 기술인력의 양성 입업직 공무원의 채용 및 경력산정 시 가점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8 목구조기술자자격의 종류와 자격요건 등(별표5) 목구조기술자자격의 종류와 자격요건
문화산업 진흥 기본법시행령 제26 기업 부설창작연구소 등의 인력시설 등의 기준 기업부설창작연구소의창작전담요원인력기준
방위사업법6 청렴서약제 및 옴부즈만제도 옴부즈만이 될 수 있는 자의 자격
법원공무원 규칙 제19 경력경쟁채용시험 등의 응시요건 등(별표51) 경력경쟁시험의 응시요건
산업디자인진흥법시행령 제4 연구 및 진흥사업의 참여기관 등 연구 및 진흥사업 참여기관 범위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제43 유해위험방지 계획서의 건설안전분야 자격 등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의 건설안전분야 자격
선거관리위원회 공무원 규칙 제89 채용시험의 특전(별표15) 6급 이하 공무원 채용시험에 응시 하는 경우 가산

 

토목시공기술사 출제기준(필기) : 400(1교시당 100), 단답형/주관식 논문형

필기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시공계획, 시공관리, 시공설비 및 시공기계 그 밖의 시공에 관한 사항 1. 토목건설사업관리









1. 건설사업관리 계획수립
2. 공정관리, 건설품질관리,
건설안전관리 및 건설환경관리
3. 건설정보화기술
4. 시설물 유지관리
  2. 토공사







1. 토공시공계획
2. 사면공, 흙막이공, 옹벽공,
석축공
3. 준설 및 매립공
4. 암 굴착 및 발파
  3. 기초공사







1. 지반조사 및 분석
2. 기초의 시공
(지반안전, 계측관리)
3. 지반개량공
4. 수중구조물시공
  4. 포장공사





1. 포장 시공 계획수립
2. 연성재료 포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3. 강성재료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4. 도로의 유지 및 보수관리
  5. 상하수도공사





1. 시공관리계획
2. 상하수도시설공사
3. 상하수도 관로공사
  6. 교량공사







1. 강교 제작 및 가설
2. 콘크리트교 제작 및 가설
3. 특수 교량
4. 교량 유지관리
  7. 하천, , 해안, 항만공사, 도로







1. 하천시공
2. 댐시공
3. 해안시공
4. 항만시공
5. 시공계획
6. 시설공사
  8. 터널 및 지하공간







1. 터널 계획
2. 터널 시공
3. 터널 계측관리
4. 터널 유지관리
5. 지하공간
  9. 콘크리트공사









1.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2. 콘크리트의 성질
3. 콘크리트의 시공 및 철근공
4. 특수 콘크리트
5.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10. 토목시공법규 및 신기술







1. 표준시방서/전문시방서기준
및 관련사항
2. 주요 시사이슈
3. 기타 토목시공 관련법규
및 신기술에 관한 사항
 

토목시공기술사 출제기준(실기) : 15~30분 내외, 구술형 면접시험

필기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시공계획, 시공관리, 시공설비 및 시공기계 그 밖의 시공에 관한 전문지식/기술

1. 토목건설사업관리







1. 건설사업관리 계획수립
2. 공정관리, 건설품질관리, 건설안전관리 및 건설환경관리
3. 건설정보화기술
4. 시설물 유지관리
  2. 토공사





1. 토공시공계획
2. 사면공, 흙막이공, 옹벽공, 석축공
3. 준설 및 매립공
4. 암 굴착 및 발파
  3. 기초공사





1. 지반조사 및 분석
2. 기초의 시공(지반안전, 계측관리)
3. 지반개량공
4. 수중구조물시공
  4. 포장공사





1. 포장 시공 계획수립
2. 연성재료 포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3. 강성재료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4. 도로의 유지 및 보수관리
  5. 상하수도공사



1. 시공관리계획
2. 상하수도시설공사
3. 상하수도 관로공사
  6. 교량공사





1. 강교 제작 및 가설
2. 콘크리트교 제작 및 가설
3. 특수 교량
4. 교량 유지관리
  7. 하천, , 해안, 항만공사, 도로







1. 하천시공
2. 댐시공
3. 해안시공
4. 항만시공
5. 시공계획
6. 시설공사
  8. 터널 및 지하공간







1. 터널 계획
2. 터널 시공
3. 터널 계측관리
4. 터널 유지관리
5. 지하공간
  9. 콘크리트공사







1.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2. 콘크리트의 성질
3. 콘크리트의 시공 및 철근공
4. 특수 콘크리트
5.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10. 토목시공법규 및 신기술



1. 표준시방서/전문시방서기준 및 관련사항
2. 주요 시사이슈
3. 기타 토목시공 관련법규 및 신기술에 관한 사항
품위 및 자질

11. 기술사로서 품위 및 자질



1. 기술사가 갖추어야 할 주된 자질, 사명감, 인성
2. 기술사 자기개발과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