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명 : 토목시공기술사

영문명 : Professional Engineer Civil Engineering Execu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 종합적인 국토개발과 국토건설산업의 조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실무기술을 겸비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자격제도

 

변천과정

‘74. 10. 16. 제정
국가기술자격법시행령
‘91. 10. 31. 일부개정
국가기술자격법시행령
현재
국가기술자격법시행규칙 별표 2
토목기술사(시공) 토목시공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수행직무 : 토목시공분야의 토목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종합건설업체나 전문건설업체로 취업하며 이 밖에 토목관련 연구소, 유관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  토목시공기술사의 인력수요는 증가 예상

 -  건설경기 활성화 대책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국내 대형 건설사들의 경영상태가 건전해지고 부동산 경기 회복 등

    증가요인이 작용하여 토목시공기술사의 인력수요는 증가 예상

 

시험 수수료

 - 필기 : 67,800/ 실기 : 87,100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2023년도 토목시공기술사 검정 시행계획

회차 필기시험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합격자결정)
면접시험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예정)
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129 1. 3.
~1. 6.
2. 4. 3. 15. 2. 6.
~3. 24.
2.20.~2.23. 4. 15.
~4. 25.
5. 19.
3.21.~3.24.
130 4. 10.
~4. 13.
5. 20. 6. 28. 5. 22.
~7. 7.
7.3.~7.7. 8. 5.
~8. 15.
9. 8.
131 7. 24.
~7. 27.
8. 26. 10. 11. 8. 28.
~10. 20.
9.5.~9.8. 11. 11.
~11. 21.
12. 15.
10.17.~10.20.

원서접수시간은 첫날 10시부터 마지막날 18시까지

2021년 제123, 125회 필기시험 합격자는 각각 2.20.~2.23., 9.5.~9.8.에만 원서접수 가능

 

연도별 합격률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소 계 120,266 9,990 8.3% 14,931 9,919 66.4%
토목
시공
기술사
2021 2,572 262 10.2% 384 245 63.8%
2020 2,436 243 10% 385 260 67.5%
2019 2,634 394 15% 560 389 69.5%
2018 2,496 310 12.4% 433 307 70.9%
2017 2,668 306 11.5% 418 287 68.7%
2016 2,766 214 7.7% 313 221 70.6%
2015 2,577 196 7.6% 274 178 65%
2014 3,367 147 4.4% 285 172 60.4%
2013 4,141 294 7.1% 510 306 60%
2012 5,207 301 5.8% 623 365 58.6%
2011 5,995 461 7.7% 735 415 56.5%
2010 6,606 341 5.2% 672 386 57.4%
2009 5,896 480 8.1% 808 446 55.2%
2008 5,440 386 7.1% 732 392 53.6%
2007 4,809 268 5.6% 538 313 58.2%
2006 3,800 339 8.9% 598 297 49.7%
2005 2,720 229 8.4% 390 181 46.4%
2004 2,266 126 5.6% 209 114 54.5%
2003 2,576 142 5.5% 254 162 63.8%
2002 2,995 264 8.8% 389 264 67.9%
2001 3,292 307 9.3% 464 312 67.2%
1977
~2000
43,007 3,980 9.3% 4,957 3,907 78.8%

 

토목시공기술사 우대현황

법규 조문내역 활용내용
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101조의2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확인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확인관계 전문가기준
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제4 건설기술인의 범위(별표1) 건설기술인의 범위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34 하도급계약의 적정성 심사 등 하도급계약 심사위원 구성요건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35 건설기술인의 현장배치기준 등(별표5) 공사 예정금액의 규모별 건설기술인 배치기준
건축물관리법시행령 제21 건축물해체의신고대상건축물 등(별표22) 등록하여야하는 기술사의 직무의 종류 및 범위
건축법시행령 제91조의3 관계 전문기술자와의협력 건축물에 건축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협력 해야하는 관계 전문기술자의 자격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령 제23조의2 가스기술 기준위원회 위원의 선임 등 가스기술 기준위원회 위원의 선임 자격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4 특수업무수당(별표11) 특수업무수당 지급
공무원 임용 시험령 제27 경력경쟁채용시험등의응시자격등(별표7, 별표8) 경력경쟁채용시험 등의 응시
공무원 임용 시험령 제31 자격증 소지자 등에 대한 우대(별표12) 6급 이하 공무원 채용시험 가산 대상 자격증
공연법시행령 제10조의4 무대예술 전문인 자격검정의 응시기준(별표2) 무대예술 전문인 자격검정의 등급별 응시기준
공직자윤리법시행령 제34 취업승인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취업승인을 하는 경우
공직자윤리법의 시행에 관한 대법원 규칙 제37 취업 승인신청 퇴직공직자의 취업 승인요건
공직자윤리법의 시행에 관한 헌법재판소 규칙 제20 취업 승인 퇴직공직자의 취업 승인요건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7 전문 광해방지 사업자의 등록기준(별표1) 전문 광해방지 사업자의 등록기준
광업법시행령 제11 현장조사를 하지아니할 수 있는 사유 현장조사를 안할 수 있는 사유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제9 무시험검정의 신청 무시험검정 관련 실기교사 무시험검정일 경우 해당 과목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사본 첨부
교육감소속 지방공무원 평정규칙 제23 자격증 등의 가산점 5급 이하 공무원, 연구사 및 지도사 관련 가점 사항
국가공무원법36조의2 채용시험의 가점 공무원 채용시험 응시 가점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16 기업 등의 이공계 인력의 활용 지원 기술사 자격취득자에 대해 재정지원 또는 세금감면 등 지원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시행령 제20 연구기획평가사의 자격시험 연구기획평가사 자격시험 일부 면제 자격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시행령 제2 이공계 인력의 범위 등 이공계 지원특별법해당자격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시행령 제6 실태조사의 시기 및 방법 등 이공계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및 주요 이공계 인력자격
군무원 인사법시행령 제10 경력경쟁채용 요건 경력경쟁채용시험으로 신규채용 할 수 있는 경우
군 인사법시행규칙 제14 부사관의 임용 부사관 임용자격
군 인사법시행령 제44 전역보류(별표2,별표5) 전역보류 자격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27 직업능력 개발훈련을 위하여 근로자를 가르칠 수 있는 사람 직업능력 개발훈련 교사의 정의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28 직업능력 개발훈련 교사의 자격취득(별표2) 직업능력 개발훈련 교사의 자격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38 다기능 기술자과정의 학생 선발 방법 다기능 기술자과정 학생 선발방법 중 정원 내 특별전형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42 교원등의 자격(별표4) 기능대학교원 자격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시행령 제44 교원등의 임용 교원임용 시 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우대
기술사법6 기술사사무소의 개설등록 등 합동사무소 개설 시 요건
기술사법시행령 제19 합동기술사사무소의 등록 기준 등(별표1) 합동사무소 구성원 요건
기술심리관 규칙 제2 기술심리관의 자격 기술심리관의 자격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6 기술거래기관의 지정기준 등 기술거래기관에 필요한 인력기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9조의2 사업화 전문회사의 지정기준 등 전담인력 및 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1 기술거래사의 자격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술거래의 경력 및 자격 등의 기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32 기술평가기관의 지정기준 등 기술평가를 위한 전담인력 및 관리 조직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춘 기관의 인력기준
기초연구 진흥 및 기술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2 기업 부설연구소 등의 연구시설 및 연구전담요원에 대한 기준 연구전담 요원의 자격기준
농어촌마을 주거환경 개선 및 리모델링 촉진을 위한 특별법시행규칙 제3 총괄계획가가 될 수 있는 기술사의 종류 총괄계획가가 될 수 있는 기술사 기준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4 국가기술자격취득자에 대한 시험면제 범위 등 같은분야 응시자에 대해 교양과정 인정시험, 전공 기초과정 인정시험 및 전공심화 과정 인정시험 면제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31 기술인력의 양성 입업직 공무원의 채용 및 경력산정 시 가점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8 목구조기술자자격의 종류와 자격요건 등(별표5) 목구조기술자자격의 종류와 자격요건
문화산업 진흥 기본법시행령 제26 기업 부설창작연구소 등의 인력시설 등의 기준 기업부설창작연구소의창작전담요원인력기준
방위사업법6 청렴서약제 및 옴부즈만제도 옴부즈만이 될 수 있는 자의 자격
법원공무원 규칙 제19 경력경쟁채용시험 등의 응시요건 등(별표51) 경력경쟁시험의 응시요건
산업디자인진흥법시행령 제4 연구 및 진흥사업의 참여기관 등 연구 및 진흥사업 참여기관 범위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제43 유해위험방지 계획서의 건설안전분야 자격 등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의 건설안전분야 자격
선거관리위원회 공무원 규칙 제89 채용시험의 특전(별표15) 6급 이하 공무원 채용시험에 응시 하는 경우 가산

 

토목시공기술사 출제기준(필기) : 400(1교시당 100), 단답형/주관식 논문형

필기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시공계획, 시공관리, 시공설비 및 시공기계 그 밖의 시공에 관한 사항 1. 토목건설사업관리









1. 건설사업관리 계획수립
2. 공정관리, 건설품질관리,
건설안전관리 및 건설환경관리
3. 건설정보화기술
4. 시설물 유지관리
  2. 토공사







1. 토공시공계획
2. 사면공, 흙막이공, 옹벽공,
석축공
3. 준설 및 매립공
4. 암 굴착 및 발파
  3. 기초공사







1. 지반조사 및 분석
2. 기초의 시공
(지반안전, 계측관리)
3. 지반개량공
4. 수중구조물시공
  4. 포장공사





1. 포장 시공 계획수립
2. 연성재료 포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3. 강성재료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4. 도로의 유지 및 보수관리
  5. 상하수도공사





1. 시공관리계획
2. 상하수도시설공사
3. 상하수도 관로공사
  6. 교량공사







1. 강교 제작 및 가설
2. 콘크리트교 제작 및 가설
3. 특수 교량
4. 교량 유지관리
  7. 하천, , 해안, 항만공사, 도로







1. 하천시공
2. 댐시공
3. 해안시공
4. 항만시공
5. 시공계획
6. 시설공사
  8. 터널 및 지하공간







1. 터널 계획
2. 터널 시공
3. 터널 계측관리
4. 터널 유지관리
5. 지하공간
  9. 콘크리트공사









1.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2. 콘크리트의 성질
3. 콘크리트의 시공 및 철근공
4. 특수 콘크리트
5.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10. 토목시공법규 및 신기술







1. 표준시방서/전문시방서기준
및 관련사항
2. 주요 시사이슈
3. 기타 토목시공 관련법규
및 신기술에 관한 사항
 

토목시공기술사 출제기준(실기) : 15~30분 내외, 구술형 면접시험

필기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시공계획, 시공관리, 시공설비 및 시공기계 그 밖의 시공에 관한 전문지식/기술

1. 토목건설사업관리







1. 건설사업관리 계획수립
2. 공정관리, 건설품질관리, 건설안전관리 및 건설환경관리
3. 건설정보화기술
4. 시설물 유지관리
  2. 토공사





1. 토공시공계획
2. 사면공, 흙막이공, 옹벽공, 석축공
3. 준설 및 매립공
4. 암 굴착 및 발파
  3. 기초공사





1. 지반조사 및 분석
2. 기초의 시공(지반안전, 계측관리)
3. 지반개량공
4. 수중구조물시공
  4. 포장공사





1. 포장 시공 계획수립
2. 연성재료 포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3. 강성재료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4. 도로의 유지 및 보수관리
  5. 상하수도공사



1. 시공관리계획
2. 상하수도시설공사
3. 상하수도 관로공사
  6. 교량공사





1. 강교 제작 및 가설
2. 콘크리트교 제작 및 가설
3. 특수 교량
4. 교량 유지관리
  7. 하천, , 해안, 항만공사, 도로







1. 하천시공
2. 댐시공
3. 해안시공
4. 항만시공
5. 시공계획
6. 시설공사
  8. 터널 및 지하공간







1. 터널 계획
2. 터널 시공
3. 터널 계측관리
4. 터널 유지관리
5. 지하공간
  9. 콘크리트공사







1.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2. 콘크리트의 성질
3. 콘크리트의 시공 및 철근공
4. 특수 콘크리트
5.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10. 토목시공법규 및 신기술



1. 표준시방서/전문시방서기준 및 관련사항
2. 주요 시사이슈
3. 기타 토목시공 관련법규 및 신기술에 관한 사항
품위 및 자질

11. 기술사로서 품위 및 자질



1. 기술사가 갖추어야 할 주된 자질, 사명감, 인성
2. 기술사 자기개발과제
 

 

+ Recent posts